한국의 스테이블코인 프레임워크, 은행의 역할에 대한 규제 당국의 이견으로 지연

7시간 전
4분 읽기
1 조회수

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논란

한국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에서 은행의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논란 속에 올해를 마무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행(BOK)과 기타 금융 규제 당국은 한국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은행의 참여 정도를 두고 충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25년 말에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던 프레임워크가 지연되고 있다고 한국중앙일보가 보도했습니다.

은행의 참여와 규제 요구

BOK에 따르면, 규제 승인을 받으려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는 은행 컨소시엄이 최소 51%를 소유해야 하며, 규제 당국은 다양한 산업 참여자들의 참여에 더 개방적입니다. “이미 규제 감독을 받고 있으며 자금세탁 방지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데 광범위한 경험을 가진 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대주주로서 가장 적합하다”고 BOK 관계자가 전했습니다.

BOK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에서 은행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금융 및 외환 안정성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비은행 기업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주도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산업 기업이 금융 기관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기존 규제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사용자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예금 수취 수단처럼 기능하기 때문입니다.

“비은행 기업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그들이 좁은 은행업에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과 같다 — 동시에 통화를 발행하고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BOK가 최근 스테이블코인 연구에서 밝혔습니다.

법안 검토와 정치적 이견

세 가지 스테이블코인 법안 검토 중 금융위원회(FSC)는 10월 정부 법안의 일환으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현지 산업 매체 Bloomingbit의 보도에 따르면, 국회 정치위원회는 월요일 여야 의원들이 제출한 스테이블코인 발행 관련 세 가지 법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제안된 법안에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DPK)에서 제출한 두 개의 법안과 야당인 국민의힘(PPP)에서 제출한 하나의 법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세 가지 제안된 법안 모두 발행자에게 최소 50억 원(340만 달러)의 자본금을 요구하고 있지만, 스테이블코인 발행자가 보유자에게 이자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와 같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김은혜 의원의 법안은 이자 지급을 허용하지만, 김현중 의원의 법안과 안도걸 의원의 법안은 이를 금지하려고 한다”고 보도는 전했습니다.

기술 기업의 움직임과 은행의 역할

한국의 의원들이 스테이블코인 프레임워크에 대해 여전히 이견을 보이는 가운데, 네이버와 같은 현지 기술 대기업들은 주요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와의 잠재적 합병 속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이니셔티브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네이버 금융은 해시드 및 부산 디지털 거래소와 협력하여 다음 달 스테이블코인 지갑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BOK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서 은행의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하겠다는 지지는 2025년 6월 부총재 류상대가 은행이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발행자가 되어야 한다고 촉구한 것과 일치합니다. 7월에는 KB국민, 신한, 우리, 농협, 기업, 수협, 씨티은행, SC제일은행 등 8개의 주요 한국 은행이 2026년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하기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보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