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의 암호화폐 개혁 추진
한국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포함한 친기업 암호화폐 개혁을 신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 신문 메트로 서울은 국가정책위원회가 8월 13일 공개 브리핑에서 이 계획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국가 행정 계획과 암호화폐 시장 개발
위원회는 5년간의 국가 행정 계획을 언급하며 123개의 국가 업무 관련 과제를 명시했다. 이 과제 중에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 구축“과 “국내 암호자산 시장 개발“이 포함되어 있다. 두 가지 모두 올해 6월 초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이후 행정부의 “핵심 국가 과제”로 지목되었다.
이 대통령은 국내 암호화폐 부문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밝혔으며, 규제 완화와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그의 의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대통령은 국내 기업들이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주요 은행과 IT 기업들은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를 다수 등록하며 반응을 보였다.
금융위원회(FSC)의 역할 변화
그러나 이 대통령의 주요 선거 공약 중 하나인 금융위원회(FSC) 해체는 5개년 계획에서 제외되었다. FSC는 국가의 최고 금융 규제 기관으로, 금융정보분석원(FIU)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를 감독하며 운영 허가를 발급하고 정기적인 현장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거래 플랫폼에서 자금 세탁 방지 및 테러 자금 조달 방지 프로토콜을 시행한다.
FSC는 더 이상 소란스러운 비판자가 아니다? 지난 몇 년 동안 FSC는 암호화폐 부문에 대해 소란스러운 비판자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정부가 산업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완화함에 따라 개혁을 지지하는 발언을 하게 되었다.
제안에 따르면 FSC의 감독 업무는 금융감독원으로 이관될 예정이며, FSC의 정책 관련 업무는 기획재정부로 이관될 예정이다. 그러나 FSC를 폐지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계획은 고위 장관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되었다. 대통령실은 이 정책이 보류되었다고 확인하지 않았지만, 5개년 계획은 이 제안이 후순위로 밀린 것처럼 보였다.
암호화폐 개혁의 시급성
신문은 암호화폐 개혁이 올해 정부와 국회의 “핵심 초점”이라고 덧붙였다. 따라서 개혁은 “앞으로 몇 주 안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메트로 서울은 전했다.
‘추격할 시간’ 정치 지도자들은 한국이 뒤처지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그들은 지난 2년 동안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이 약 262% 성장했다고 지적한다.
암호화폐 투자가 미국, 유럽연합, 일본에서 기관화의 추진으로 급증했지만, 서울에서는 같은 상황이 아니라고 보도했다. 매체는 다음과 같이 썼다: FSC는 기업들이 암호화폐를 사고팔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을 우선시하고 있으며, 규제에 대해 “더 완화된 접근“을 원하고 있다.
규제 기관은 올해 말까지 암호화폐 관련 규제를 도입할 의향을 이전에 밝혔으나, 회의론자들은 FSC의 운명에 대한 최종 결정이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신문은 규제 기관 폐지에 대한 논의가 “미래에 재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익명의 금융 부문 관계자들은 금융 규제 기관의 재편에 대한 논의가 “올해 말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달 초 서울 강남구는 세금 체납자에게서 암호화폐를 압수하여 올해 상반기 동안 144,057달러의 미납 세금을 회수했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