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미국의 암호화폐 단속 이후 북한에 대한 제재 검토

1주 전
4분 읽기
6 조회수

북한의 암호화폐 도난과 제재 재검토

한국은 북한의 암호화폐 도난 작전을 무기 자금 조달과 연계한 미국의 새로운 제재 발표 며칠 후, 북한에 대한 제재 체계를 재검토할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 김지나 제2차관은 목요일 연합뉴스TV와의 인터뷰에서 서울이 “정말 필요하다면 제재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말하며, 북한이 제기하는 디지털 위협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협력의 중요성

김 차관은 “북한의 암호화폐 도난 사건에서는 한국과 미국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이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 조달에 사용될 수 있으며, 우리의 디지털 생태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덧붙이며, 잠재적인 재검토는 상황에 따라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암호화폐 도난 사건에서는 한국과 미국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 김지나 제2차관

이 발언은 이번 주 초 미국 재무부가 사이버 공격을 통해 도난당한 암호화폐를 세탁한 북한 개인 8명과 2개 단체를 겨냥한 새로운 제재를 발표한 이후 나온 것이다. 제재에는 국영 IT 전선인 고려 망양대 컴퓨터 기술 회사와 중국 및 러시아의 북한 관련 금융 대표들이 포함되었으며, 미국 당국은 이들 단체가 북한의 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불법 디지털 자금을 이동시켰다고 주장했다.

제재의 배경과 전망

재무부 관계자들은 또한 KMCTC의 회장 유용수와 은행가 장국철, 호종선이 랜섬웨어 및 사기 계획과 관련된 암호화폐 세탁의 주요 촉진자로 지목했다. 또 다른 제재 대상인 류종신용은행은 해외에 파견된 북한 IT 근로자들의 수익을 송환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상황은 “2016년 북한의 핵실험 이후” 발생했으며, “두 나라 간의 대규모 교류가 완전히 단절되었다”고 서울에 본사를 둔 타이거 리서치의 수석 분석가 라이언 윤이 Decrypt에 말했다. 윤은 “그 이후로 소규모 제재가 계속 부과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제재가 북한의 행동을 억제하기 위한 글로벌 트렌드와 일치한다고 덧붙였다.

윤은 더 많은 제재가 올 가능성이 “높다”고 인정하면서도 그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일은 수십 년 동안 계속되어 왔다”고 그는 덧붙였다.

한국의 독립적인 제재

실제로, 앤젤라 앵 TRM Labs 아시아 태평양 정책 및 전략 파트너십 책임자는 Decrypt에 “한국이 미국의 조치 이후 북한에 대해 독립적인 제재를 발동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고 말했다. 앵은 “OFAC와 같은 주요 당국의 제재는 이미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데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한국의 추가 제재는 이러한 조치를 강화하는 것으로 여겨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미국이 최근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정상 회담 결과에 대한 공동 사실 확인서를 최종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방송된 성명에서 “미국 측은 현재 문구를 조정하고 검토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Decrypt는 재무부에 논평을 요청했다.